여성장애인이 임신·출산, 육아활동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여성장애인연합, 한국여성연구소는 지난달 27일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여성장애인 임신·출산·육아의 현황과 대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 조속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예자(한국여성장애인연합)상임대표, 강남식(한국여성연구소)소장, 오혜경(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부)교수, 백은령(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교수, 이윤경(한국보육교사회)공동대표, 변용찬(보건복지부 사회정책연구실)실장, 김혜선(보건복지부)여성정책담당관, 송승태(보건복지부)장애인정책 심의관 등 100여명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서는 국내 최초로 실시한 여성장애인의 임신·출산·육아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90.2%인 441명이 자녀를 낳아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가족 총 소득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가 전체 66.2%로 조사돼 여성장애인의 경제 상태가 열악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의료보장 종류 중 의료급여수급자가 45.2%를 차지해 여성장애인의 상당수가 저소득층에 속해있다.

이에 대해 백은령 교수는 “부부모두 장애를 갖고 있는 가정에 대한 경제적 지원, 육아 및 가사활동 지원 등의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성장애인 44.9%인 169명이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에 대해 60명이 보육시설 비용이 부담스러워서라고 응답했다. 반면 118명의 응답자 중 76.3%인 90명이 보육시설 이용을 희망하고 있어 양육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보육시설 이용기회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육시설과 관련 오혜경 교수는 “우선입소는 물론 연령제한에 있어서 좀더 일찍 입소하고 좀더 늦게 퇴소할 수 있었으면 한다”며 “여성장애인들이 경제적으로 열악해 비용문제해결을 위한 대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348개의 응답 중 여성장애인 23%가 희망정책에 경제적 지원을 꼽았고 희망프로그램으로는 34.5%가 가사지원 이동보조 등을 위한 도우미 파견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이번 여성장애인 임신·출산·육아 실태 및 욕구조사는 지난 7월15일부터 9월14일 2개월 동안 620부의 설문지를 배포 497부를 회수해 분석한 결과다. <권중훈 기자>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