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그날이 올 것을 믿는다는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에이블뉴스>

[지상중계]척수신경 재생과 재활의 미래 세미나

한국척수장애인협회(이하 척수협회)는 지난 23일 서울대 황우석(수의학) 교수를 초청해 '척수신경 재생과 재활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세미나를 열어 많은 척수장애인들의 관심을 모았다.

최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입법예고로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다시 활기를 찾게 된 가운데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서 황우석 교수는 장애인들에게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와 전망을 설명했다.

이날 황 교수의 강연 내용과 참석자들과 황 교수, 연세재활병원 박창일 원장 사이에 오고간 주요 질의응답 내용을 총정리했다.

폐기직전 배아 연구 허용의 한계

황 교수는 먼저 생명윤리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냉동된 지 5년 이상 된 폐기직전의 배아에 대한 연구 허용'에 대해 설명하며, 그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황 교수는 "배아나 난자는 일반 세포나 혈액, 정자에 비해 수분의 함량이 굉장히 높아 동결과정에서 융해될 가능성이 높고 동결된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꺼낸다는 것은 대단히 낮은 확률을 보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황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5월 영국에서는 세계최초로 줄기세포 은행을 설치하겠다고 발표, 3군데의 중심 뱅크를 만들어 현재 운영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전했다.

또한 황 교수는 "성체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에 비해 윤리적, 사회적 문제가 전혀 없다고 볼 수 있지만 꺼낼 수 있는 세포의 수가 한정돼있고 임상용량인 기백만 수준의 세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집중되는 세계의 관심…“타 국가와 공동연구 계획”

황 교수는 지난해 4월 제랄드 샤튼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동물실험을 한 결과 인간의 세포는 복제과정에서 8세포기 까지는 분화가 이뤄지지만 16세포기까지 가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것은 중심체계에 큰 이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극복하기 힘들다"는 이론을 뒤엎고, 30개의 복제된 인간배아를 만드는데 성공했고 하나의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도 성공했다.

이런 황 교수의 성과에 대해 전 세계 언론과 과학계가 복제양 '돌리'는 가짜라는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했던 것과는 달리 "저것은 인간이 이룬 기술이 아니라 신기다"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황 교수는 "우리는 이런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결코 뒤지지 않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현재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대해 세계 각국에서 320개 연구진이 세포를 분할해주기를 요청했고, 공동연구 제안의 끊이지 않고 있다.

황 교수는 "이것은 우리나라의 국익과도 관계된 일인 만큼 정부와의 협의 하에 우리가 부족한 부분들에 노하우를 갖고 있는 몇몇 국가와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장애인들은 황우석 교수의 강연에 시종일관 큰 관심을 기울였다. <에이블뉴스>

"의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그날을 위해"

이날 세미나에서는 황 교수가 줄기세포를 이용한 동물실험의 결과를 동영상으로 소개해 관심이 집중됐다. 영상 내용은 척수가 손상된 상태에서 줄기세포를 투여 받은 개는 거의 정상적으로 걸어 다녔지만 그렇지 않은 개는 자리에서 일어날 수도 없는 내용이었다.

이 결과에 대해 행사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을 표시했지만 황 교수는 "이 역시 대단히 극 초기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임상에 적용하기까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황 교수는 "과학이라는 것은 긍정적인 시각과 미래를 보는 안목이 없으면 결코 할 수 없다”며 “의학적 근거만 확인한다면 우리는 의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그날을 맞이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다음은 황 교수와 장애인들 사이에 오가간 질의응답 내용.

척수장애인 외의 다른 장애를 치료할 수는 없는가

황우석 교수: “저의 영역이 아니므로 의사선생님들의 말씀을 전하자면 우리는 일단 제1 목표 질병을 척수손상 질환으로 보고 있다. 몇몇 선생님께서는 뇌졸중, 당뇨, 신경장애 등을 연구하고는 있지만 아마도 가장 빨리 임상적 접근이 가능한 분야가 척수손상이 아닐까 싶다.”

임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쯤이 되겠는가

박창일 원장: "뇌성마비나, 뇌손상, 파킨슨씨병 등에 대해 지금도 많은 실험을 하고 시도를 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입증이 되지 않아 발표를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것이 어느 것이 먼저 임상적 적용이 될지 모르겠지만 일단 응급환자에게 먼저 적용될 것 같다. 그렇게 되기까지 최소한 5년은 걸린다고 봐야할 것이다."

줄기세포로 척수가 회복된다고 했을 때, 그동안 사용하지 않은 관절과 근육의 기능이 많이 떨어졌을 텐데 완전 회복이 될 것인가

박 원장: "흉추11번 위쪽을 다친 분들은 경직이 있다. 그것은 아직도 신경이 중추와 연결돼서 활동을 하고 있다는 말이고 뇌에서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중간에 차단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명령이 끊긴 상태라는 것이다. 그러나 자체 내에서는 신경들이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직이 있는 분들은 근육이 살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중추신경만 다친 게 아니라 손으로 가는 말초신경을 다친 경우는 확실히 장담하지 못한다. 지금은 확실한 대답을 해줄 수 없지만 동물실험 결과를 가만해봤을 때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척수신경이 완전히 절단된 상태에서도 줄기세포 시술로 재생이 가능한가

박 원장: "실험결과를 보면 완전손상에서도 세포가 자라났다. 그러나 100% 연결은 안 된다. 한손가락 굵기 정도의 중추신경 안에는 굉장히 많은 전선줄이 지나다니고 그 중에 몇 개가 살아날지는 모른다. 동물실험 결과를 보면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고 보지만 장시간 손상상태에서 실험한 것이 아니라서 임상 적용 시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냉동배아에서 채취한 배아와 신선 배아는 분명 차이가 있을 텐데 5년 이상 냉동된 배아로 줄기세포 추출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는가

황 교수: "배아의 동결 기간은 상관이 없다. 문제는 동결을 했느냐, 안했느냐다. 그러나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신선배아는 사용할 수 없고 처음 배아를 만든 목적이 최소한 이 실험이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만약 윤리적인 문제를 떠나서 얘기한다면 동결된 것보다는 동결되지 않는 것이 성공률이 높다.”

일부 종교계 및 생명윤리계에서 반대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황 교수: "지당하신 반대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해야 내일 아침 신문에서 내가 얻어맞지 않을 것이다(웃음). 그리고 당연한 말씀이고 그분들의 지적을 경청해야 한다. 생명윤리의 존엄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한 2주전에 세계 생명윤리학회장이라는 분한테 초청을 받고 유럽을 방문했다. 가기 전에 나는 상당히 긴장을 했는데 의외로 협회 측은 나를 정부주요 인사들과 접견시키고 귀빈대접을 했다. 나는 그곳에서 각종 종교, 사회, 언론계에서 많은 강연을 했고, 오늘 한 얘기와 똑같은 말들이었지만 예외 없이 모든 일간지 1면 톱으로 보도가 됐다. 유럽을 떠나면서 내 자신이 이렇게 환대를 받는 것에 대해 생명윤리학회장에게 의문을 던졌더니 그분은 이렇게 말했다.

‘진정한 생명윤리는 지금 현재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어떻게 해서든 하루빨리 그 고통을 경감시켜 주고 그 가족과 사회의 불행요소들을 덜어주는 것이 진정한 생명윤리다.’(청중 박수)

그는 또한 ‘당신 나라에서 당신이 환자들과 일반 국민들에게는 환영을 받지만 일부에서는 심한 인격적 모독을 받았고 연구가 중단됐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런 분위기라면 예수가, 석가모니가, 마호메트가, 맹자가 그 나라에 가서 당신이 한 일을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그분들은 반대할 것이다.

그러니 큰 틀에서의 생명윤리를 고려하면서 그것이 진정 인류를 위한 길이라고 학자적 양심으로 판단한다면 그 길을 가는 것이 옳은 판단이다’라는 얘기를 해주셨다.”

황우석 교수와 이날 세미나 주최측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이블뉴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