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욱의 가방 들어 주는 아이.

"어제 아이 학교에서 집사람을 좀 오라고 해서 학교에 다녀왔답니다" 몇 해전 A라는 분을 만났을 때 나온 이야기였다. 가끔 A를 만나면 장애인복지에 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곤 했는데 아내가 학교에 다녀 온 사연인즉 A의 아들은 초등학교 3학년이었다. 그 반에 정신지체 아이가 하나 있었다. 초등학교는 한 책상에 둘이씩 앉으니까 정신지체아도 누군가의 짝이 되어야 했다.

그런데 그 장애아의 짝이 되는 아이는 다음날이면 엄마가 학교로 찾아와서 "왜 우리아이 짝을 그런아이(바보?)로 앉히느냐 당장 바꿔달라"며 항의를 한다는 것이었다. 초등학교는 대체로 키 순서대로 앉히는데 그 장애아의 짝을 몇번이나 바꿔야 했던 선생은 하는 수 없이 A의 아내를 불러서 아들 00를 장애아의 짝으로 앉히면 어떻겠느냐고 묻더라는 것이다. 아내는 괜찮다고 했는데 선생이 몇번이나 고맙다고 하더란다.

아이들은 잘 모른다. 어떤 장애아의 행동이 이상하면 재미삼아 그것도 따라 해보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 부모들이 노발대발한다. 아이들은 함께 어울려 부딪히면서 장애인를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어른들은 다양성을 인정할 줄 모른다. 어른들은 그들의 잣대로 다수와 소수, 그리고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해서 다수가 가는 쪽을 정상이라고 생각하여 그쪽으로 획일화를 시켜 나가는 것이다.

장애인은 소수이고 비정상이라서 언제나 불리하다.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아직도 "이 사람이 맹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기의 죄입니까? 그 부모의 죄입니까?"하고 하나님에게 물어 보아야 알 수 있단 말인가. 장애는 누구도 원하지 않았던 불운 일 뿐이고, 누가 언제 어떻게 장애인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사실이다.

장애의 원인을 보자. 질병 교통사고 산업재해 약물오남용 안전사고 환경공해 등등 이에 대한 책임은 단연코 국가와 사회에 있다. 그럼에도 국가와 사회는 직무를 유기한 채 개인이나 가족들의 고통으로 떠넘기고 있다.

무슨 무슨 명품이 불티나게 팔리는 OECD 서열 몇 위라는 나라에서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 그 이유야 여러 가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인식의 부재 즉 교육에 문제가 있다.

이번 국감에서 교육 관련 내용을 보자. 민주당의 최영희 의원은 교육대학에 특수교육 교과목 편성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적어도 교육대학 내에 개설된 특수교육관련 교과목은 전공선택이 아닌 전공필수로 전환하고, 과목수도 두 과목 이상으로 하되 반드시 ‘통합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시켜야한다”물론 백번 지당한 말씀이다.

그런데 "특수교육에 대한 실질적 지도가 가능하도록 수화나 점자 같은 실용적인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커리큘럼을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수화나 점자는 하루아침에 배울 수 있는 것도 아닐뿐더러 통합교육에서도 장애아 교육은 특수교사가 담당을 하고 있기에 그 보다는 장애인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자민련의 조부영 의원은 '통합교육 현장실태 조사분석’자료에서 장애이해교육 우선대상으로 일반교사가 37.5%로 1순위로 지목되었으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 장애학생이 수업에 편성되었을 때 일반교사의 72.7%가 ‘걱정스럽다’고 대답하였다는 것이다.

결국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반교사들이 장애인를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교육대학이나 일반 사범대학에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배워서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장애인 관련 과목은 반드시 전공필수로 편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와 병행해야 될 것은 장애인에 관한 내용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학년 교과서에 등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해 장애인의 참정권과 관련한 내용이 교과서에 실린다고해서 전국의 언론이 떠들썩한 적이 있었다. 장애인도 대한민국 국민임에야 당연히 참정권이 있는데 그 참정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만들어 놓고서 말이다.

현재 오체불만족 등 몇 개 내용이 교과서에 실리기는 했지만 장애발생의 원인과 예방, 장애의 유형과 불편사항, 장애인복지제도 등 장애 전반에 관한 것을 교사는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가르쳐야 한다. 그래서 이 땅의 장애인이 좀 불편하기는 해도 불행하지는 않게 해주어야 한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