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제작한 '장애인 인식개선 홍보영상' 모습. ⓒ보건복지부

동영상 전문사이트 유투브에 올라온 '지하철 2호선 지체장애아 구타하던 아저씨'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뒤 늦게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5월 올라온 동영상 속 한 중년 남성이 지적장애가 있는 중학생을 '게임기를 시끄럽게 한다'는 이유로 발길질을 하며 구타했기 때문이다.

문제의 남성은 구타를 피해 옆 칸으로 도망간 장애 아이를 쫓아가 또다시 구타했고, 시민들이 말리며 비난하는 와중에도 반성은 커녕 장애아이를 꾸짖었다. 이 동영상은 현재 25만명에 육박하는 사람들이 조회했으며, 문제의 남성은 '지하철 막장남'으로 불리우며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폭력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7월에는 한 여성이 안내견과 함께 지하철을 탄 시각장애 여성에게 하차할 것을 요구하며, 난동을 부리기도 했다. 여성은 시각장애 여성에게 "지하철에 큰 개를 데리고 오냐. 미쳤냐. 당장 사과하고 내려라"며 난동을 부렸다.

이 같은 장애인에 대한 폭력은 끝도 없이 발생한다.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발생하는데 하물며 사적인 장소에선 얼마나 많은 폭력이 있을지 알 수 없다.

취재 중 만난 한 장애인 관련 관계자는 "ㅇㅇ사건이라고 불리우며 세간의 관심을 받는 사건들은 현실의 많은 사건 중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세간에 이슈가 되는 사건들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장애인에 대한 신체·정신적 폭력들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들의 인식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누리는 것들을 당연히 보장 받아야할 권리가 있지만, 아직까지 사회 곳곳에는 ‘장애인은 사회의 구성원이 아닌 특별한 존재’라는 편견으로 인한 차별이 자리 잡고 있다.

인권위에 따르면 지난 2001년 출범 이후 10년 동안 인권위에 접수된 차별 진정사건 사유 중 ‘장애로 인한 차별’이 38.7%로 가장 많았다. 끊임없이 장애는 차별의 이유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지적장애 아이를 때린 남성에게 항의하던 중년 여성은 이런 말을 했다. "정신적으로 이상한 애를 발로 찰 수 있느냐."

지적장애가 있음을 인정하고 그 장애의 특성을 고려해 사회가 이해해줘야 하는 부분들을 배제한 채 아이를 나무랄 수 있느냐는 지적이다. 특히 판단 능력이 부족한 지적장애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면, 그 아이의 행동을 좀 더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었을 것이고, 사태가 심각하게 흘러가지 않을 수도 있었다. 물론 문제의 남성은 성품 자체의 문제도 있을 수 있겠다.

'시각장애인 안내견 사건'을 봐도 그렇다. 안내견이 시각장애인에게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지에 대한 국민적 장애인식이 있었다면 그와 같은 사건도 벌어지지 않았다.

결국 비장애인의 장애인식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한 장애인에 대한 무지한 행동과 폭력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장애인에 대한 이동, 교육, 문화 등의 모든 권리는 장애인식 개선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부가 관련 대책을 늘어놓고 장애 관련 법들을 만든다고 해도 반짝 정책에 그칠 뿐이다. 그 대책을 따르고 법을 시행해야 할 사회 구성원들이 변해야 한다. 장애인식 개선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사회를 위한 근본 대책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 같은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책임감을 가져야 할 곳은 언론이다. 과거 ‘정신지체 장애’가 ‘지적장애’로 용어가 바뀐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언론들은 ‘정신지체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장애를 극복의 대상으로 하는 보도들을 내세우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거리감을 조성하기도 한다.

이는 ‘누구나 장애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장애인식 개선에 악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 방향들도 마찬가지다.

하루아침에 장애인식이 바뀔 순 없다. 언론과 언론인, 정부 등이 앞에서 선도하며 장애인식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하철 막장남', '지하철 무개념녀'에 의한 장애인 폭력 및 인권침해는 막을 수 없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