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에 이리저리 꽂혀진 책과 책상 위에 널브러진 책을 정리하다가 추억 하나를 발견하였다. 고교시절 백일장에서 입상하여 부상으로 받았던 신경림 시인의 첫 시집 '농무'와 그 책갈피 사이에는 국어선생님께서 보내주신 편지 한 통이 끼어 있었다.

오래된 편지를 읽어 내려가면서 편지지의 빛바랜 냄새보다 진한 향수에 젖어 단발머리 고교시절로 돌아가 보았다. "나무의 마음을 헤아리며 명숙이에게 편지를 쓴단다"라는 말로 편지는 시작되었다.

"내가 네 나이였을 적에 나는 아버지를 따라 산에 나무를 하러가곤 하였단다. 그 시절은 나무를 베서 땔감을 하던 시절이라 나무를 하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기도 했지.

아버지는 나무를 베기 전에 늘 나무를 툭툭 톱으로 쳐보곤 하셨단다. 나무에서 나는 소리가 너그러움을 간직하고 있다고 판단이 되면 나에게 나무를 베게 하셨지. 하지만 나무가 아직 마음의 준비가 안 되어 있다고 생각이 드시면 "아직 때가 아니야" 하시며 그냥 지나치셨지. 아파하는 나무의 소리가 마음에 걸리기 때문이란 이유였단다.

그것이 아버지의 어린 나무에 대한 배려였던 것을 그땐 알지 못했어. 앞장서서 툭툭 나무를 치며 올라가던 아버지, 혈기만 왕성했던 나는 아버지가 무엇을 하는지 알지 못했지. 말도 붙이지 못하고 머리로만 궁금증을 헤아릴 뿐이었단다.

어느 날 아버지는 내게 말씀을 해주셨어.

"나무를 두드려 보는 것은 나무의 소리를 들어 주는 거야. 나무가 아직은 아프다고 하면 베지 않고, 나무가 즐겁게 자연으로 돌아갈 준비가 되어있다면 베는 거지” 라고 하셨지. 나무의 소리를 듣고 나무를 베는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려 보게 되었단다.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마찬가지 아니겠니?

아버지의 가르침이 바로 거기 있었다는 것을 어른이 된 후에 깨닫게 되었지. 그리고 지금 이 순간, 먼 훗날에 시인이 될 지도 모르는 너에게 나는 선생님으로서 무엇이든지 그곳에 내재된 마음의 소리를 듣는 사람이 되라고 부탁하고 싶구나"

근 30여년이 다 된 편지를 읽으며 사람의 소리를 귀 기울여 듣지 못하고 생각나는 대로, 제멋대로 생활하며 어른이 된 내가 부끄러워졌다.

나무의 마음에까지 닿아있는 아버지의 마음과 가르침을 애틋하게 간직하고 계신 선생님의 편지가 아직까지도 따스하게 가슴에 새겨졌다. 그리고 지척에 있는 사람에게도 미치지 못하는 내 삶이 왜소하고 무의미하게 보였다. 점심시간 사무실 옆 공원을 산책하다 나무를 툭툭 나무를 쳐보았다. 하지만 아직 나무의 소리가 내게는 들려오지 않았다. 공원에는 한 움큼의 바람만 웅성거리다가 지나갔다.

[신년이벤트]새해 소망을 적으면 선물을 드립니다

최명숙씨는 한국방송통신대를 졸업하고 1991년부터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홍보담당으로 근무하고 있다. 또한 시인으로 한국장애인문인협회회원으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1995년에 곰두리문학상 소설 부문 입상, 2000년 솟대문학 본상을 수상했으며 2002년 장애인의 날에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시집 '버리지 않아도 소유한 것은 절로 떠난다' 등 4권이 있다. 일상 가운데 만나는 뇌성마비친구들, 언론사 기자들, 우연히 스치는 사람 등 무수한 사람들, 이들과 엮어 가는 삶은 지나가면 기쁜 것이든 슬픈 것이든 모두가 아름다운 추억이 되어 남으니 만나는 사람마다 아름다운 사람으로 기억되길 바라고, 스스로도 아름답게 기억되는 사람이 되길 바라는 마음속에 기쁜 희망의 햇살을 담고 사는 게 그녀의 꿈이다.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홈페이지 http://www.kscp.net/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