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2급 안면장애인이다.

이 사회가 제작년에 공식으로 인정해준 등급이다.

2종 보통 운전면허증처럼

공인된 장애인증을 항상 지갑에 넣고 다닌다.

30년 동안 난 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의 삶을 살았다.

그렇다고 일반인 대우를 제대로 받지도 못했다.

면접에서 700번 실패의 참담한 전적을 가지고 있는

외모지상주의 사회의 희생량이 되어 왔었다.

그래서 난 나 자신을 이 사회로부터 분류를 해 놓았다.

일반인과 장애인 그리고 나와 같은 이방인의 범주를

하나 만들어 나를 그 속에 감금시켰다.

나는 비관적일 수밖에 없었다.

나 자신을 책망하기 앞서 나를 버렸던 이 조국이 싫었고

나를 알아주지 못한 이 사회가 너무나 답답했다.

그러나 난 하나님을 통해서 내 잘못된 생각을 뜯어 고치기

시작했다.

환경을 탓하고 상황을 탓하고 사회를 탓하기에 앞서

내 인생을 탓하지 못함을 뉘우쳤다.

내 상처받은 얼굴이 늘 치명적인 약점이고 최악의 단점이라고

아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그건 나의 뼈아픈 실수고 과오였다.

지금은 아니다.

지금의 내 얼굴에 감사할 수 있다.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적절하게 행복으로 이끌었고

내 약점을 강점으로 부각시키고 극대화시켜 왔다.

요즘은 내 얼굴을 주위에서 인정해주기 시작했다.

나를 메이커 장애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인간 관계에서의 내 얼굴은 첫인상에서 실패를 안겨다

줄지 모르지만 커다란 장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나를 한 번 보았던 사람들은 기억상실증에 걸리지 않는 이상

나를 십년이 흘러도 기억해준다.

그리고 내 얼굴안에서 작은 웃음과 눈빛과 내 목소리를

들었던 사람들은 나를 만나면 희망을 얻고 간다는 이야기를

한다.나의 마스크가 남들에게 힘과 용기가 된다니

기분이 썩 나쁘지 않다.

악성 베토벤은 귀머거리인데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의 음악가이다.

그가 귀머거리라는 음악가로서의 치명적인 장애를 딛고 이겨냈기에

지금까지 존경받는 베토벤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장애를 대처하는 3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장애를 이기지 못하고 굴복하는 패배자가 있다.

둘째,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순종형이 있다.

그리고 셋째, 장애를 뛰어넘어 초월인생을 살아가는 살아가는

승자가 있다.누구나 큰 장애라고 인정하지만 본인 스스로

장애를 제대로 못느끼며 생활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무슨 일을 하든지 장애 자체가 걸림돌이 되어 본 적이 없는

경우이다.

우리는 장애를 반드시 이기고 극복해 나가야만 하는 숙명적인

운명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각본이고 법칙이다.

나는 이미 32년 전부터 인생의 위기가 찾아들었고 그 위기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내가 죽을 때까지 그 위기는 계속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내가 위기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도 했고

때때로 인식하며 힘들어 했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내 모습을 냉정하게 판단해 본다.

비굴하지 않았고 당당하려고 노력했었다.

하지만 내 약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었다.

아직도 갈 길은 멀다.

장애앞에서 더욱 의연한 모습 보일 것이다.

미완성인 나를 완성해 나가기 위해 끝없이 갈고 닦아야 겠다.

김광욱씨는 현재 한국빈곤문제연구소 비상근간사로 일하고 있다. 1살때 연탄구덩이에 떨어진 장난감을 주으려다 구덩이에 머리부터 빠지는 바람에 화상장애인이 됐다. 그는 조선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학원강사 등으로 취업을 하기위해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그를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의 능력때문이 아니라 얼굴 때문이었다. 그는 지난해 정부과천청사앞에서 화상장애인의 생존권 확보를 위한 1인시위에 나서는 등 화상장애인 인권확보를 위해 세상과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 그는 또 지난해 5월부터 테스란 이름으로 취업전문 사이트 인크루트에 취업실패기를 연재한 적이 있다. 그 사이트에 올린 180여건의 경험담은 최근 '잃어버린 내 얼굴'이란 제목의 책으로 세상에 나왔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