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지적‧자폐성 장애인과 그 가족을 중심으로 한 이용자 중심의 정책을 추구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발달장애인
실태조사를 해야 한다. 지적‧자폐성 장애인 24만 명과 그 가족의 구체적 필요와 욕구가 담겨, 구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이들의 삶 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전수
실태조사여야 한다.
또한, 지적장애인과 자폐성 장애인은 특성과 욕구가 각기 다르기에, 분리해서 통계를 내는 것,
실태조사 정보형태가 쉬운 글이나 그림, 또는 맥락에 따르는 정보 등으로 되어야 함도 아울러 말하고 싶다. 발달장애인
실태조사에 관한 방법, 조사내용 등 구체적 계획을 가까운 시일에 보건복지부에서 내놓고 이를 실행해야 할 것으로 본다.
실태조사에는 분명 지적‧자폐성 장애인과 그 가족의 구체적 실태가 담겨야 하므로, 이에 대해 알기 위해 관련 예산이 상당히 많이 든다. 그런데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권 감수성이 거의 없어 충분한
실태조사 예산 확보에 걸림돌이 된다. 통계청도 장애에 대한 인식이 많이 없는 건 마찬가지다.
기재부의 경우 관료들 대부분이 경리 출신이라 그런 것도 있다. 따라서 인권 감수성이 높은 인사들, 그리고 재정을 집행하는 곳인 만큼 경리 출신이 아닌 재정에 전문적인 사람들이 기재부에 기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기재부와 통계청에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계층에 대한 인권 감수성 제고를 위한 장기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그럴 때 지적‧자폐성 장애인과 그 가족의 구체적 상황과 삶의 모습이 담긴
실태조사가 나올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해 이들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가게 되어 권리 기반의 이용자 중심의 정책이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임을.
국가 차원의 발달장애인
실태조사, 제공자 중심에서 탈피해 이용자 중심 정책 방향으로 한 발짝 가는 길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