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s)는 일반적으로 사람과 컴퓨터 인터페이스(HCI, Human Computer Interfaces), 사람과 기계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s 또는 MMI(Man Machine Interfaces) 등으로도 불리며, 기계나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기 위하여 그 사용자들이 직접 접근하여 관찰하고 조작하는 부분을 말한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기본이고, 사용자들이 편하고 쉽게 시스템을 배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우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핵심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모 통신사에서 출시한 스마트폰 제품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모듈방식(Modular Type)시스템을 통해 스마트폰의 하단을 분리해 다른 모듈로 바꿔 끼우면 음향이나 카메라 성능이 전문기기 수준으로 대폭 향상되는 개념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개념의 접근방식은 장애인 이용자 관점에서 장애유형이나 접근성 향상 관점에서 이러한 모듈교체 방식은 새롭게 다가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상호 작용의 방향에 따라 입력(Input)과 출력(Output)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단말기기에서 입력이 처리되는 구조는 입력장치, 신호처리, 메뉴, 명령 및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장치는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물리적인 장치를 말하고, 신호처리는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디지털화된 데이터 신호로 전환하는 장치를 칭한다.

디지털화된 데이터 신호는 크게 명령과 데이터로 구분되고 입력에 의한 최종적인 결과이다. 명령은 단말기가 해야 할 일을 지시하는 것이고, 데이터는 저장 또는 처리될 정보를 말한다.

메뉴는 단말기기에서 실행될 명령들의 목록이며 메뉴를 이용한 신호처리는 물리적 신호를 메뉴와 결합하여 특정한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즉, 단말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와 키-버튼 입력이 결합되어 특정한 명령 또는 데이터로 인식되어 처리된다.

메뉴는 명령들의 목록 이외에도, 단말장치의 화면에 나타나는 2차원 그래픽(GUI)의 아이콘 등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렇듯 UI입력의 처리구조를 볼 때 UI의 특징은 ‘입력장치’ 또는 ‘메뉴’, 또는 ‘입력장치와 메뉴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향후 스마트폰 단말기기 관련 표준화는 주로 사용자가 적용된 OS와 단말기의 제조사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통일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일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인 사용자의 경우 장애유형에 따른 제악을 최소화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인데, 이는 다시 말해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대표적인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 환경에 대한 보완 대체 수단의 제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음성 인식 시스템과 휴대용 블루투스 키보드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장치는 기존 키패드 기반 단말기기의 입력장치, 터치방식의 입력장치와 에어-뷰 등의 동작인식 센싱 기술에 의한 입력장치, 햅틱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등의 기술이 대표적으로 적용된 기술들이다.

먼저 기존 키패드 기반 단말기기의 입력장치는 대부분의 단말기기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대표적인 입력장치는 키패드 형태인데, 키패드는 다수의 입력키 자판으로 구성된 입력 장치이다.

전형적인 키패드는 개별 버튼, 12 숫자 키패드, 쿼티(QWERTY), 방향키 등으로 구분된다.

다음으로 터치 방식의 입력장치 터치패널은 평판을 손끝이나 전자펜 등 기타 물체로 평판을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값을 입력값으로 받아들이는 입력장치가 전형적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구현되어 컴퓨터 사용 환경에서의 마우스 등을 대신하는 포인팅 장치로 이용된다.

터치스크린은 투명한 터치패널을 디스플레이 위에 부착하여,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디스플레이를 접촉하면 접촉되는 위치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장치이다.

반면, 터치패드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터치패널을 설치하여 구현하는 포인팅 입력장치이다.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 적용된 가속도 등 센싱 기술에 대해 알아보면, 가속도 센싱 기술은 중력센서로, 자이로센서 등을 단말기기에 장착하고 이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말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기에 부착한 가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기기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동작을 인식하여, 이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거나 동작(또는 제스처)입력을 적절한 명령으로 단말기가 인지한다.

이러한 디지털 단말기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항목을 분류하여 정리해 보면, 크게 버튼식 키패드 방식을 활용한 데이터의 입력/명령의 실행 등의 키패드 활용에 대한 사항과, 핸드라이팅 문자인식 등의 디지타이저와 음성인식이 대표적이다.

또한 스마트폰에 적용된 대표적인 생체인식 보안시스템인 지문인식 시스템은 신체동작인식 분야의 적용의 예이다.

물리량의 변화에 따르는 동작 감지기술을 포함하는 기기자체 동작 감지기능과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기능과 관련해서 광센서 관련 사항이며, 입력시스템과 메뉴의 이동, 화면 전환 등의 메뉴 관련 화면처리 기술과 입력동작에 음성의 출력과 헵틱 반응 등의 출력기술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1.4Kg의 미숙아로 태어나면서 출생 시 의료사고로 심한 뇌병변장애를 운명처럼 가지게 되었다. 부산장애인자립생활대학 1기로 공부했으며, 대구대 재활과학대학원에 출강한 바도 있다. 지금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의 이사로 재직 중이다. 모바일‧가전을 포함한 장애인 접근성, 보조공학 등 관련 기술을 다룰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