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에 다양한 스마트 폰(smart phone) 제품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sensor)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를 탑재됨에 따라, U-헬스케어(health care) 서비스 분야에서 환자 또는 의료진에게 스마트 폰 기반의 의료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시도되고 있다.

스마트 폰은 기존 PC와 달리 사용자에게 이동성을 제공하고, 아울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가속도 센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센서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헬스케어(Healthcare)의 약어로서 정보통신기술이 의료와 접목되어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U-헬스케어를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건강에 관련된 정보 (혈압, 혈당, 운동량, 체온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진료가 가능하여 질병의 사후 치료가 아닌 건강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예방이 가능토록 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U-헬스케어 서비스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시장조사 기관인 Forrester Research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시장은 지난 2010년 약 3조원에서 최근 2015년 33조원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0년 지식경제부에서 LG, SKT 컨소시엄(consortium)을 선정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 케어(smart care) 서비스 시범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스마트 폰은 휴대성, 이동성,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PC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기반으로 좀 더 다양한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가 가능하며, U-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폰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Apple, Google, Samsung 등의 제조사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폰이 출시 및 개발되고 있는데, 스마트 폰은 모바일 운영체제 (i-OS, 안드로이드, 모바일 윈도우 등)를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통상 다양한 센서와 무선 통신 모듈(module), 고용량의 메모리 (1GB 이상), 고전력 (1930 mAh), 고해상도,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 고성능의 프로세스 (1GHz 이상) 등을 지원한다.

스마트 폰에 장착되어 지원되고 있는 센서로는 위치정보 측정 센서 (GPS),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거리센서, 밝기 센서 등이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로는 근거리 통신 모듈인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원거리 통신 모듈인 WiFi, 3G, LTE (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한다.

스마트 폰은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시공간적으로 구애받지 않는 크나큰 장점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든 의료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010년 1월 MobiHealthNews에 의하면, 전체 iPhone-애플리케이션 중에 31%(Clinical Consult(10%), Drug Reference(7%), Emergency Care(5%), General Patient(4%), Nurse(3%), Radiology, Dentist(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U-헬스케어 응용 서비스가 스마트폰 앱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스마트 폰은 현재 기본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분야에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첫째, 스마트 폰은 장소에 상관없이 헬스케어 정보를 쉽게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특수한 의료장비 없이 스마트폰이 장착한 카메라 및 여러 가지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심박이나 혈압 등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세 번째, 특정 지역의 환경오염이나 특정 질병 발생 빈도를 파악하여 질병 예방과 관련된 지역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분야의 대표적인 스마트 폰 앱 응용으로 영국의 NHS Direct를 예로 들 수 있는데, NHS(National Health Service: 미국, 영국의 국민 의료 보험)는 원래 전화를 사용하여 헬스 정보, 확인 및 어드바이스(advice) 서비스인데 현재 iPhone 및 Android 폰에서 앱을 통해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NHS 앱 서비스를 통해 병원에 가기 전에 스스로 자신의 징후를 진단가능하며, 그 외 술 마신 뒤에 알콜 섭취량 및 금연 서비스도 제공한다.

두 번째 분야는 Instant Heart Rate(심박수)나 Stress Check와 같이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심박수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GPS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 및 건강관리 앱이 나와 있다.

세 번째 분야는 Asthmapolis Project에서와 같이 스마트 폰에 환경오염 관련 특정 칩을 장착하여 지역에 따른 천식환자 발생 빈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 유형은 지역별 계절별로 특정 풍토병 발생빈도를 측정 할 수 있는 다양한 칩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즉,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부분, 데이터를 수집 및 전달 기능 부분, 의료 관리 서비스 부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센서 부분에서는 다양한 센서 측정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 (Bluetooth, Zigbee, NFC 등)을 통해 스마트 폰·태블릿PC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전달된 생체 데이터는 스마트 폰에 의해 수집되어 WiFi, 3G, LTE, WiMax 등의 원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의료 서비스 공급자들에게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일반인 또는 U-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는 응급 콜 서비스, 아동·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개인 생체 데이터 관리 서비스,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 응급 서비스 등의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스마트폰은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스마트 폰은 크게 세 가지의 장점을 가진다.

첫째, 위치정보 측정 센서 (GPS 모듈),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거리센서, 밝기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장착하고 있으며, 또한 생체 정보 수집 장치 (혈압계, 혈당계, 운동량 측정기기, 체온계 등)으로부터 다양한 생체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원거리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있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셋째, 스마트폰의 프로세스가 고성능화되었으며, 배터리 개선으로 오랜 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특징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U-헬스케어 응용 서비스 (원격 의료 서비스, 아동·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정신질환 관리 서비스, 만성 질환 관리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 관리 분야는 일반적으로 크게 암질환 관리, 만성 질환 관리, 임신·육아 관리, 비만 관리, 피부 관리, 독거 노인관리, 정신 관리로 분류할 수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이러한 서비스 분야에서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예방하는 것이 목표인데, 암 질환은 갑상선암, 위암 유방암 등의 질병을 말하며, 개인의 식습관, 운동량, 생활 습관 등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이다.

이와 같은 암 질환의 경우 조기 진단이 가장 중요한데, 이를 위해, 암 질환에 따른 통계적인 증상 및 원인에 대해 정기적인 자가 진단을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 폰 기반의 응용 서비스가 필요하다.

만성 질환은 신체증후가 장기간 지속되어 긴 임상결과를 밟는 질환으로 당뇨병, 고혈압성질환, 간질환, 심장질환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만성 질환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치료 중의 하나는 생체 정보 관리와 주기적인 약물 투약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향후 이러한 효율적인 생체 정보 관리와 약물 투약관리에 대한 서비스 필요한데, 정신질환은 정신 기능에 장애가 온 상태를 말하며, 정신병, 신경병, 인격 장애 등과 같은 질병을 말한다.

이러한 질병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정신질환의 경우 언어, 행동, 습관 등으로 질환이 나타나기 때문에 통계적인 증상 자료를 이용한 주기적인 자가 진단 테스트를 통해 질병이 발견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만관리, 피부 관리, 독거노인 관리, 정신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1.4Kg의 미숙아로 태어나면서 출생 시 의료사고로 심한 뇌병변장애를 운명처럼 가지게 되었다. 부산장애인자립생활대학 1기로 공부했으며, 대구대 재활과학대학원에 출강한 바도 있다. 지금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의 이사로 재직 중이다. 모바일‧가전을 포함한 장애인 접근성, 보조공학 등 관련 기술을 다룰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